제주의 수많은 오름들은 각각의 모습과 이야기를 품고 사람들을 반긴다. 그중에서도 내게 편안하고 아늑한 휴식처 같은 오름이 있다면, 바로 이 통오름일 것이다. '통'이라는 이름은 제주어로 ‘둥글고 부드럽게 솟은 작은 언덕’을 뜻하며, 이름 그대로 오름의 모습이 둥글고 부드럽게 올라 제주의 따스한 정서를 그대로 품고 있다. 제주 마을 삼춘들은 이 오름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통오름은 족아도 동그랗고 편안허게 솟아 있어서 올라보민 마음이 조냥 맨도롱허고 부드러워지쿠다. 참 따스하고 정겨운 오름이여마씀." 통오름을 찾은 날은 제주의 늦가을 오후 세 시 반쯤이었다. 제주의 오후 세 시 반은 햇살이 더욱 부드럽고 바람이 조용히 불어와, 걸음을 천천히 옮기기에 더없이 좋은 시간이다. 오름 입구에 들어서자, 완만하고 둥근 탐방로가 마치 나를 반기는 듯 부드럽게 펼쳐져 있었다. 길 양옆으로는 키 낮은 억새와 작은 야생화들이 오후 햇살 아래 곱게 피어 있었다. 탐방로의 흙길은 족아도 부드럽고 걷기 편했다. 발 아래에서 전해지는 흙의 감촉은 따스했고, 길 옆의 억새들은 부드럽게 흔들리며 나를 반겨주는 듯했다. 걷는 동안 중간중간 제주 사람들의 소망을 담은 작은 돌탑들이 눈에 띄었다. 오래전부터 제주 사람들은 이 오름을 찾으며 가족의 건강과 마을의 평안을 빌었다고 한다. 나 역시 작은 돌 하나를 골라 정성스레 돌탑 위에 올리고, 소박한 소망을 마음속에 담았다. 중턱쯤에 서서 주위를 천천히 둘러보았다. 주변의 풍경은 정말로 고즈넉하고 편안했다. 멀리 보이는 제주 바다와 주변의 중산간 들녘은 따스한 오후 햇살 아래 더욱 깊고 부드럽게 펼쳐져 있었다. 제주 삼춘들이 했던 말이 다시금 생각났다. "통오름은 족아도 편안허게 생겨서 바라보민 속이 다 맨도롱해지쿠다. 이 오름에서는 마음도 둥글고 편안해지쿠다." 정상에 오르자 탁 트인 전망이 펼쳐지며 더욱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었다. 정상에서 바라보는 제주 풍경은 마치 넓고 둥근 품속에 안겨 있는 듯한 편안함을 주었다. 서쪽으로 펼쳐진 푸른 제주 바다와 동쪽으로 보이는 아름다운 중산간 마을의 모습은 시간마저 멈추게 만드는 듯했다. 정상에서 잠시 앉아 눈을 감고 제주 바람을 느껴보았다. 바람은 조용하고 따스하게 불어왔으며, 바람결을 따라 들리는 작은 새들의 지저귐은 마음까지 편안하게 만들어주었다. 통오름에서의 이 순간은 마치 제주의 깊은 품속에 안긴 듯한 특별한 느낌을 주었다. 내려오는 길, 오후 햇살은 더욱 부드러워졌고, 억새와 작은 꽃들은 잘 가라고 조용히 흔들렸다. 오름을 내려오는 내내 통오름에서 느꼈던 편안하고 아늑한 시간들이 마음 깊숙이 남아 오랫동안 깊은 여운을 남겼다. 통오름 주변에는 특별한 관광시설이 없어서 더욱 자연스러운 매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복잡한 관광지 대신 제주의 진정한 자연과 편안한 휴식을 느끼고 싶은 사람들에게 이곳은 더없이 좋은 장소가 될 것이다. 다음에 다시 통오름을 찾는다면, 역시 오후 세 시 반의 부드러운 햇살과 함께 제주의 따스한 바람과 깊은 이야기를 다시 만나고 싶다. 그렇게 통오름은 제주에 살아가는 내게 언제나 편안하고 맨도롱한 휴식을 주는 특별한 장소로 남을 것이다.
해발고도 | 약 178m 정도로 누구나 부담 없이 산책할 수 있는 높이입니다. |
소요시간 | 왕복 약 30~40분 정도의 가벼운 산책 코스로 적합합니다. |
길 상태 | 완만한 흙길과 억새밭으로 이루어져 있어 매우 걷기 편합니다. |
난이도 | 매우 쉬움 (어린이와 노약자 누구나 쉽게 방문 가능합니다.) |
주변 환경 | 억새와 작은 야생화들이 어우러져 있으며, 주변 풍경이 둥글고 부드러운 느낌으로 아름답습니다. |
계절 추천 | 가을(억새가 아름다운 시기), 봄(야생화가 피어나는 시기)을 추천합니다. |
분위기 | 편안하고 아늑하며, 여유로운 산책과 휴식을 취하기 좋은 곳입니다. |
문화/설화 | 제주 사람들은 통오름의 둥근 형태를 마음의 평안을 가져다주는 상징으로 여겨 가족과 마을의 평안을 빌며 이곳을 자주 찾았습니다. 그 따스한 마음이 오래도록 이어져 내려옵니다.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하천리 1976-1번지 일대 |